황사

  • 공유 목록열기
    공유 목록닫기

황사가 발생하려고 하나요?

가정에 계신다면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하세요.
  • 실내에서는 공기정화기, 가습기 등을 준비하세요.
  • 외출 시에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준비하세요.
  •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 등에 넣으세요.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기상청에서 발표한 기상예보를 청취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휴교 또는 단축수업을 검토하세요.
  • 학생들의 비상연락망을 점검하여 연락체계를 유지해 주시고
  • 휴교 조치 시 맞벌이부부 자녀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자율학습을 하도록 하세요.
  •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황사 피해예방 행동요령을 지도·홍보하세요

축산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야외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을 덮을 피복물을 준비하세요.
  • 동력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를 점검하세요.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하세요

황사가 발생하였나요?

가정에 계신다면

  •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시고 외출 시에는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시며 귀가 후에는 손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하세요.
  • 황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공기정화기와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세요.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생선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요리하세요.
  •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가공·조리 시 손을 철저히 씻으세요.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의 실외활동을 금지하고 수업단축 또는 휴교 조치를 취하세요.
  • 실외학습, 운동경기 등을 중지하시거나 연기하세요.

축산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야외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세요.
  • 축사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황사 유입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하세요.
  •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으세요.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으세요.

황사가 지나갔나요?

가정에 계신다면

  •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주세요.
  • 황사에 노출되어 오염된 물품은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하세요.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학교의 실내·외를 청소하여 먼지를 제거하세요.
  • 학생들의 건강을 살펴서 감기·안질환자 등은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시키세요.
  • 황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거나 식당 등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세요.

축사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비닐하우스·축사 등 시설물, 방목장 사료조,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하거나 소독을 실시하세요.
  • 황사에 노출된 가축의 몸에 묻은 황사를 털어낸 후 소독을 해 주세요.
  • 황사가 끝난 후 2주일 정도 질병의 발생유무를 관찰하세요.
  • 구제역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가축이 발견되면 즉시 신고하세요.

황사발생은 이렇게 확인하세요

  •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를 청취하세요
  • 기상청(www.kma.go.kr), 농림축산검역본부(www.nvrqs.go.kr)에서 확인하세요.
  • 국번 없이 131(지역번호 + 131)번이나 기상청(02-841-0011 / 02-831-0365)으로 전화해보세요.

페이지 담당자
안전총괄과 자연재난담당 ( ☎ 055-580-2761 )
최종수정일
2024.10.08 14:54:44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