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항산
소개
해발 770m에서 바라본 지리산과 남해의 푸른 물결
여항산의 지명유래
여항산(艅航山, 770m)은 예부터 함안의 주산(主山)이자 진산(鎭山)으로, 지리산 영신봉에서 김해 분성산을 잇는 낙남정맥(洛南正脈)의 한가운데에 위치하며,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강명리 일원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여양리 일원에 분포한다. 함안의 지형적 특성인 남고북저(南高北低)의 지세와 하천의 역류(逆流)는 바로 함안의 남단에 위치한 여항산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여항산에 관한 기록은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1425),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1481),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1530), 『함주지(咸州誌)』(1587), 『영남읍지(嶺南邑誌)』(1871) 등 다수의 문헌에서 확인된다. 그 중 『함주지』산천조(山川條)의 기록이 백아홉 글자로 비교적 상세한데, 「(요약) 군성(郡城:함안읍성)에서 서남쪽으로 15리(上里)에 위치하며, 두류(頭流:현재의 지리산)에서 300리를 이어져 와 군을 진압하는 진산이다. 산꼭대기 바위는 깎아지른 듯하고 남쪽은 낙숫물을 받는 댓돌처럼 생겼는데 그 위가 편평하여 10여명의 사람이 앉을 수 있을 정도이다. 바다를 바라보면 멀리 대마도의 여러 섬들이 뚜렷하게 보이고, 산허리에는 한낮에도 신령한 퉁소 소리가 나는 듯하며 구름이 생겼다가 사라졌다가 한다. 가뭄이 심할 때에는 군민들이 기우(祈雨)의 깃발을 꽂고 비가 올 것인지 점을 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항’이라는 지명의 유래와 관련한 전설로는 천지사방이 물에 다 잠겼을 때 여항산의 꼭대기만이 배 만큼 남았다고 하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는데, 『경상도지리지』를 비롯한 조선시대 대부분의 기록에 ‘남을 여(餘)’자에 ‘배 항(航)’자의 ‘餘航’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1586년 한강(寒岡) 정구(鄭逑) 군수가 부임하면서 함안이 남고북저(南高北低)의 지형으로 물이 역류(逆流)하는 까닭에 역모를 꾀할 기운이 있다하여 이를 풍수지리적으로 바로 잡고자 낮은 북쪽은 뜻과 글자로써 높여 대산(代山)으로, 높은 남쪽은 배가 다닐 수 있는 낮은 곳이라는 의미에서 여항(餘航)으로 고쳤다는 설이 있지만, 대산과 여항은 이미 사용해 오던 지명으로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배이름 여(艅)자에 배 항(航)자의 ‘艅航’은 문헌기록과 각종 지도로 보아 18~19세기 사이에 ‘餘→艅’로 변경된 것으로 추정되나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기록이 없어 그 이유는 알 수 없다.
여항산은 이외에도 마을주민들에 의해 곽(갓)데미산, 배넘기산, 필봉(筆鋒)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어 왔는데, 이 중 ‘곽(갓)데미산’은 정상에 있는 마당바위(平岩, 곽바위)를 가리키는 ‘곽(槨, 郭)’이나 ‘갓(冠)’에 큰 덩어리를 의미하는 순우리말 더미(데미)가 붙어 만들어진 이름으로 생각된다. 또 ‘갓’을 ‘어미’로, ‘데미’를 ‘산’으로 보아 ‘어미산’ 또는 ‘모산(母山)’의 의미를 가진다는 의견도 있다. ‘배넘기산’은 『함주지』총담조(叢談條) 천하의 지세(天下之地勢)에 「여항산의 ‘여(餘)’자는 방언에 ‘월(越)’이라 한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배(航)가 넘는다(越)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 하겠다.
한편, 6.25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 사수를 위해 여항산을 중심으로 피아간 격렬한 전투가 있었는데 이 때 많은 피해를 입은 미군들에 의해 ‘갓뎀(goddam)산’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이는 ‘갓데미산’의 발음을 들어 희화(戱化)하여 부른 것이다.
여항산의 문화유적
여항산성(艅航山城)
여항산성과 관련한 옛 기록은 전혀 없으며, 지방의 지리적 특색을 비교적 잘 기록하였던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에서 조차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산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1996년 5월 아라가야향토사연구회에서 실시한 지표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여항산성의 존재가 알려졌으나, 아직까지 정식의 학술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산성의 축성연대와 구조 등에 관한 정확한 내용은 분명하지 않다.
여항산성은 여항산 제1봉과 제2봉에 각각 축성되어 있는 2개의 테뫼식(봉우리를 둘러쌓아 축성하는 방식) 석축산성(石築山城)으로, 해발이 높아 주변 일대를 조망하기에 특히 유리하고 남쪽의 진동만에서 함안으로 북진하는 적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망과 방어가 유리하다는 점에서 군사적 기능의 산성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여항산성Ⅰ’은 여항산 제1봉(770m)의 정상부와 능선에 남북으로 길게 축성되어 있는 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약 750m 정도이다. 1996년 지표조사 당시에는 산성의 동문지(東門址)와 북문지(北門址)로 추정되는 곳이 있었으며, 특히 동쪽 성벽 일부는 비교적 잘 잔존해 있어 여항산성이 협축식(夾築式:내 ․ 외벽을 각각 수직으로 쌓아 올리면서 그 안을 흙이나 돌로 채우는 축성방식)의 산성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훼손으로 인해 그 흔적을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인데, 다만 산성의 북동쪽 능선을 따라 회곽도(廻郭道:성곽 내에 이동을 쉽게 할 목적으로 만든 길)로 추정되는 길이 약 150m, 너비 4~5m 정도의 평탄지가 조성되어 있어 이곳이 산성이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경사면이 급한 서쪽과 남쪽은 별도의 축성 없이 암반을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산성 내에는 저수시설(貯水施設)로 추정되는 구덩이도 확인된다. 성내에 위치한 헬기장 주변에서 토기편과 기와편이 채집되는 것으로 보아 이곳에 산성과 관련한 건물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항산성Ⅱ’는 여항산의 제2봉(744m) 즉 정상으로부터 약 700m 정도 북서쪽에 위치한 산성으로, 전체둘레는 약 270m 정도이다. ‘여항산성Ⅰ’과 마찬가지로 정상부와 능선에 축성하였다. 성벽의 대부분이 허물어져 원형을 알기 어려우나 무너진 성벽의 부재(部財)들이 동서사면을 따라 길게 이어져 있어 산성이 존재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현재 정상의 북동쪽 사면에서 산성의 일부로 추정되는 석축이 확인되며, 산성 내에는 저수시설로 추정되는 구덩이가 확인된다.
여항산성과 관련한 문헌기록이 전혀 없어 정확한 축성연대는 알 수 없지만, 지표조사 당시 채집된 도질토기 파편과 선문계(線文系)의 기와편으로 보아 삼국시대 말~통일신라시대의 산성으로 추정된다.
여항단(餘航壇)
함안에 심한 가뭄이 들면 여항산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는 옛 기록이 여러 문헌에서 확인된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1481)에는 여항산의 서북쪽에 위치한 미산봉(眉山峰)에서 기우제를 지내기 위한 사단(祠壇)을 설치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함주지(咸州誌)』(1587)에는 여항산의 정상에 있는 소위 마당바위에서 기우제의 깃발을 꽂고 비오기를 기원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 『함주지』단묘조(壇廟條)에 선조(宣祖) 정해년(丁亥年, 1587) 여름 오랜 가뭄으로 농사가 많이 상하여 여항산에 석단(石壇 : 餘航檀)을 쌓아 놓고 비니 영험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함안총쇄록(咸安叢瑣錄)』(1891)에는 1891년 4월 경, 각각 여항산 상봉(上峰)과 용연(龍淵), 별단(別壇)에서 십 수차례의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환여승람(還輿勝覽)(1929)에는 여항산에 기우단(祈雨壇)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여항산의 정상에 기우단이 있었다는 기록, 미산봉에 기우단이 있었다는 기록, 또 이외에 용연이나 별단 등에서도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로 보아 여항산에 있는 특정의 여항단(餘航壇)에서만이 아니라 여항산과 그 주변을 포함한 수개의 장소에서 기우제를 지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현재 여항산 정상에서 북서쪽으로 약 200m 정도의 위치에 등산객들에 의해 만들어진 십 수개의 돌탑이 있으며, 그 아래에서 약간의 석축(石築)이 확인된다. 1996년 아라가야향토사연구회의 지표조사 당시에는 이곳에서 가로 13m, 세로 9m 정도 규모의 타원형 석단을 발견하였다고 한다. 이 역시 기우제를 지내던 제단일 가능성이 높으나, 여러 문헌기록에서 전하는 여항단의 위치와는 차이가 있다.
위치 및 주변관광
해당 관광지와 근접한 관광지·음식·숙박점을 나타냅니다.
전체
-
여항산 둘레길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055-580-4551
-
여항산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055-580-4551
-
여항산 호수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64-59 010-8524-8904
-
깜이네민박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216 010-3557-2365
-
아기염소깜이네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216 010-3575-5452
-
나무골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16
-
여항산횟집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2길 203 055-583-0900
-
여항산 마을문화센터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여항로 201-10 055-584-1027
-
하휴당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1길 122-25 010-9081-8074
-
여항산정원펜션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4길 126 010-8627-8660
관광지
-
여항산 둘레길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055-580-4551
-
여항산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055-580-4551
-
아기염소깜이네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216 010-3575-5452
-
별천지마을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동2길 136 010-3552-8462
-
별천지 농촌체험 휴양마을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동2길 136 055-585-1727
-
팜스테이마을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동2길 136 02-2080-5588
-
별천계곡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동리 483 055-580-3951
-
봉화산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동리, 내곡리 055-580-4551
-
자야네관광농원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동3길 1-51 010-2551-6775
-
비봉농장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강명리 930 010-4582-7133
문화재
-
함안파산봉수대 경남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산188, 주동리 산55-1, 주동리 산55-3 055-580-2551
-
원효암 칠성각 경남 함안군 군북면 사촌4길 863 055-580-2551
-
함안외암리공룡발자국화석 경남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 산80 055-580-2551
-
함안향교 경남 함안군 함안면 덕암길 102 055-580-2551
-
함안백암사석조여래좌상 경남 함안군 함안면 백암길 223-4 055-580-2551
-
함안주리사지사자석탑 경남 함안군 함안면 함안대로 105-2 055-580-2551
-
함안성점산성 경남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 산75 055-580-2551
-
함안낙화놀이 경남 함안군 함안면 괴산리 544-2 055-580-2551
-
함안 무진정 경남 함안군 함안면 괴산4길 25 055-580-2551
-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경남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 1139 055-580-2551
음식점
-
여항산횟집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2길 203 055-583-0900
- 식객 경남 함안군 여항면 내곡3길 78 055-582-8899
- 사랑채 경남 함안군 여항면 진함로 943 055-585-9252
-
식객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3길 47 055-582-8899
-
식객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3길 47 055-582-8899
-
아름식당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봉성7길 6 055-583-0050
-
카페다희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함안대로 98 0507-1339-2338
-
카페.북촌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1길 15-15 0507-1381-8723
-
하만스빅버거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함안대로 253 010-5557-7593
-
식목일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함안대로 255 0507-1360-1336
숙박시설
-
여항산 호수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64-59 010-8524-8904
-
깜이네민박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216 010-3557-2365
-
나무골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3길 16
-
여항산 마을문화센터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여항로 201-10 055-584-1027
-
하휴당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1길 122-25 010-9081-8074
-
여항산정원펜션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4길 126 010-8627-8660
-
사랑채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주서4길 158-12 010-8502-8660
-
별천지 녹색농촌체험휴양마을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동2길 136 055-585-1727
-
청춘 별을 쏘다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여항로 79 010-4570-4826
-
별천민박 경남 함안군 여항면 여항로 473-3 010-9602-2164
블로그 후기
- 허브아이 함안 여항산 등산코스 백패킹 금지 ?? 헉 수원에서 4시간을 걸려 함안 여항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담으려 갔다가 이런 경험을 합니다... 함안여행 여항산 등산코스 백패킹은 이 정도의 여항산의 정상뷰을 보러 4시간을 걸려서 왔다는게 정말 후회가 되는...
- 깜찍이 사진일기 함안 "여항산 호수길 트래킹" 오늘은 놀부회(놀기좋아하는 부부) 모임에서 2025년 문화 탐방으로 함안으로 갔다. 함안 여항산 호수길... 시간대를 잘 맞추면 입구에 있는 금계정에 오르면 시원한 바람과 함께 여항산 그림자를 담은 저수지...
- 등산하는 스리스리님의 일상기록 (경남 등산) 함안 여항산 770m #좌촌마을 함안 여항산 등산 770m 등산코스: 좌촌마을~3코스~정상~1코스 하산 소요시간: 3시간 30분(휴식 30분) 든든한 양배추 토스트 먹고 함안으로 출발! #좌촌마을 주차장 주차공간 여유 화장실 있음 작년에 왔던 여항산...
- 생활여행자 경남 함안 여항산 등산코스 1~3코스 경남 함안 여항산 등산코스 1코스 등산 - 3코스 하산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서리 산142-1 해발 770m 등산일 25.01.25 25년 1월 25일 경남 함안 여항산 다녀왔어요. 늦은 포스팅입니다. 참고해주세요. 여항산 등산...
- 페이지 담당자
- 산림녹지과 산림정책담당 ( ☎ 055-580-4551 )
- 최종수정일
- 2024.08.19 11:5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