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건적을 물리친, 이방실 장군 (1298~1362)
이방실 장군은 고려시대(高麗時代)에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원(李源)의 아들로서 고려 공민왕때의 유명한 구국장군으로 함안 이씨(咸安李氏)의 중시조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24년(1298)에 지금의 경남 함안군 여항면 내동에서 투우봉의 정기를 이어 받아 태어났으며 고려 말엽의 외침(外侵)에 의한 존망(存亡)의 위기를 누차에 걸쳐 구한 맹장이다. 그는 고려 오백년 역사를 지킨 4성군(四聖君)과 16공신 중의 한 사람으로서 현재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소재하는 숭의전(崇義殿)에 배향(配享)되어 국가에서 춘추(春秋)로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방실 장군은 충목왕(忠穆王)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 시종할 때 뛰어난 지모(智謀)와 무용(武勇)으로써 왕을 안전하게 보필한 공으로 왕이 즉위하자 그 지략을 인정하고 인품을 가상(嘉尙)히 여겨 중랑장(中郞將)에 보하였고 호군(護軍)에 옮겨 전(田) 백결(百結)을 하사(下賜)하였다 .1354년(공민왕3)에 대호군(大護軍)으로 올라 선성(宣城)에서 다루가치 노연상(魯連祥)이 모반하자 용주(龍州)의 병사를 이끌고 이를 진압하였다. 1359년(공민왕8)에 우리 나라를 침략한 홍건적의 괴수 모거경 위평장(僞平章)등은 4만의 홍건적(紅巾賊)을 이끌고 압록강의 얼음판을 건너와 의주(義州)를 함락하고 이 나라 관원(官員)인 부사(副使) 주 영세(朱永世) 및 주민 천여명을 죽이고 다시 정.린주(靜.麟州)를 함락하여 도지휘사(都指揮使) 김 원봉(金元鳳)을 살해하므로써 드디어 안주(安州)에 웅거하였다. 이때 이방실 장군은 안주만호(安州萬戶)로 안우(安祐), 이음(李蔭), 이인우(李仁祐) 등과 협력하여 적을 압록(鴨綠) 서경(西京)간에서 격파한 공으로 이방실 장군은 추성협보공신 추밀원부사(推誠協輔功臣 樞密院副使)로, 안 우는 추충절의정란공신 중서평장정사(推忠節義定亂功臣 中書平章政事)로, 김 득배는 수충보절정원공신 정당문학(輸忠保節定遠功臣 政堂文學)으로 제수되었다.
뒤에 홍건적(紅巾賊)이 전함 70여척으로 서해도(西海道)에 재침하자 풍주(豊州)에서 이를 물리치니 왕은 크게 기뻐하며 제신(諸臣)에게 향연을 내리시고 이방실 장군에게 옥대(玉帶)와 옥영(玉纓)을 하사(下賜)하였다. 이때 공주가 이를 보고 말하기를 "어찌 지보(至寶)를 사랑하지 않고 가볍게 남에게 주시나이까" 하니 왕이 말하기를 "우리 종사(宗社)가 폐허가 되지 않게 함은 다 방실의 공(功)이다. 내가 비록 살을 베어 주더라도 오히려 능히 보답하지 못하겠거늘, 하물며 이 물건이 어찌 아까우리요" 라고 말하였다. 왕이 말씀하신 사실로 보아 우리 민족을 구한 충렬공 이방실 장군의 업적은 성웅(聖雄)임과 동시에 위대한 맹장임을 누구나 다 알 수 있을 것이다.
1361년(공민왕10)에 홍건적인 위평장(僞平章), 반성(潘城), 사유(沙劉), 관선생(關先生), 주원수(朱元帥) 등이 용봉(龍鳳)으로서 기원(紀元)하고 적의 무리 20만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건너 삭주(朔州)와 이성(泥城)에 침입하자 안우(安祐)를 상원수(上元帥)로 김득배를 도병마사(都兵馬使) 이방실을 도지휘사(都指揮使)로 삼아 난(亂)을 평정코저 그들과 함께 개주(价州), 연주(延州), 박주(博州) 등지에서 적을 요격했으나 중과부적(衆寡不適)으로 패하고 안주(安州) 절령에서 참패하게 되니 서울인 개성까지 적의 손에 함락되었으며 이때 공민왕은 복주(福州-지금의 경북안동-)에 피난하였다.
1362년(공민왕11)에 이방실 장군은 서북면 도지휘사(西北面 都指揮使)로 제수되어 총병관(總兵官) 정세운(鄭世雲), 안우(安祐), 김득배(金得培), 황상(黃裳), 한방신(韓方信), 이여경(李餘慶), 안우경(安遇慶), 최영(崔瑩) 등과 함께 20만 대군을 이끌고 동교(東郊)의 천수사(天壽寺) 앞에서 진을 치고 서울을 포위하여 적을 섬멸하고 잔적을 압록강 너머로 격퇴, 개선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구국의 공을 평소부터 시기하던 간신(奸臣) 김용(金鏞)은 위계(僞計)로 불세출(不世出)의 대공을 세운 3원수인 안우, 김득배와 더불어 이방실 장군을 살해하고 말았다. 이때 이방실 장군의 아들 중문(中文)은 나이 겨우 10여세였으나 당시의 사람들은 "지금 우리 모두가 침식을 편히 함은 다 원수님의 공이다"라고 하면서 그를 극진히 보호하였다 한다. 국난(國亂)을 극복한 영웅들 가운데 이방실 장군을 비롯한 김득배, 안우 등 고려 3원수가 국운이 누란(累卵)의 위기(危機)에 처하여 서울 이 함락되고 거의 대부분의 국토가 홍건적에게 빼앗겨 나라마저 잃을 시기에 외세(外勢)의 도움없이 이를 수복구국(收復救國)하였다는 것은 고구려의 영양왕때 수나라 백만 대군을 물리친 을지문덕(乙支文德)장군 이나 조선조 선조(朝鮮朝 宣祖)때 임진왜란(壬辰倭亂)을 평정(平定)한 이순신(李舜臣)장군의 공(功)과 더불어 우리 민족사(民族史)에 길이 빛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