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Haman 여닫기 TOP
HamAn TODAY
# 현재 시각 토요일 오전 05:25 2023/12/09

오늘의 날씨

맑음
20231209 14.7 맑음
습도 : 71%
강수확률 : 0%

이태준

몽골에서 神醫라 불린 순국선열 이태준(李泰俊) (1883.∼1921.)

자는 원일(元一는), 호는 대암(大岩)이다. 본관은 인천이며 몽골에서 항일독립운동을 한 순국선열이다.

1883.11.21. 경남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에서 가난한 농사꾼의 2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릴적 군북 도천재 서당에서 한학을 배웠다.
부모님과 아내를 모두 원인도 모르는 병으로 잃고 1906년 돈을 벌기 위해 서울로 상경하였다.

이태준(李泰俊)

타고난 근면성실함을 인정받아 기독교 선교사를 통해 1907년 세브란스의학교에 입학하여 1911년 6월 세브란스의학교 제2회 졸업생으로 의사가 되었다.

세브란스의학교 재학시설 도산 안창호 선생의 감화를 받아 항일 독립운동에 뜻을 세우게 되고, 도산 안창호선생이 최남선선생에게 추천하여 청년학우회에 가입하였다.

1911년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중국 남경으로 망명하여 기독회의원에서 일하게 되었다.
1914년 김규식선생의 권유로 다시 몽골로 건너가'동의의국(同義醫局)'이라는 병원을 개원하고, 김규식의 사촌여동생(김은식)과 결혼하였다.

몽골에서 근대적 의술로 전염병을 퇴치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고, 몽골의 마지막 국왕의 주치의가 되어 1919년 7월 몽골 최고의 훈장인 에르데니 인 오치르를 수여받았다. 현재까지도 몽골에서는 신의(神醫)로 불린다.

또한'동의의국(同義醫局)'은 중국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독립운동 거점기지로 독립운동가들의 숙식과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몽골에 사는 동포들의 영사관 역할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는 등 주요한 비밀 항일활동에 큰 역할을 했다.

신한청년당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한 김규식의 참석경비 2천원을 제공하였고, 상해임시정부의 군의관 감무(監務)로 활약하였으며, 한인사회당과 의열단 비밀요원으로 활동하면서 의열단에 폭탄제조기술자 헝가리인 마쟈르를 소개하여 마쟈르의 도움으로 제조된 폭탄들로 황옥경부 사건, 김시현 사건을 비롯한 의열단의 파괴공작을 펼칠 수 있었다.

특히, 1920년 레닌정부가 상해임시정부에 지원하기로 한 200만 루블의 금괴 중 한인사회당에 지급하기로 한 40만 루블의 금괴 일부를 전달하는 임무를 맡아 8만 루불 금괴를 성공적으로 전달하였으나 1921년 2월 2차 4만 루블의 금괴를 추가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러시아 몽골 점령군에 속해 있던 일본군에 의해 교살되었다. 당시 그의 나이 38세였다.

2001년 몽골 울란바토르시에 '이태준 기념공원'이 조성되었으며,기념공원에는 기념관, 가묘, 추모비, 비석 등이 있다.

1980년 대한민국 대통령표창 서훈,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국가보훈처의 2017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관광담당관 문화유산담당
전화번호 :
( ☎ 055-580-2551 )
만족도 조사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