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문신 경기체가 '관동별곡'의 저자 안축(安軸) 선생 (1282~1348)
선생의 이름은 축(軸)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이며 시호는 문정공(文貞公)이다. 고려조에 문과에 급제하여 전주사록(全州司錄), 사헌규정(司憲糾正), 단양부주부(丹陽府主簿)를 지내고 1324년(충숙왕 11) 원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요양로개주판관(遼陽路蓋州判官)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고려에 돌아와 성균학정(成均學正)을 거쳐 충혜왕(忠惠王) 때 강원도 존무사(存撫使)로 파견되었다. 이때 충군애민(忠軍愛民)의 뜻이 담긴 문집 관동와주(關東瓦注)를 남겼다.
1332년(충숙왕 복위 1) 판전교(判典校)·지전법사(知典法事) 재직시 파면당했다가 전법판서(典法判書)로 복직되었으나 내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
충혜왕이 복위하자 다시 전법판서·감찰대부(監察大夫)에 등용되었으며, 1344년(충목왕 즉위)에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내고 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가 되어 양전(量田) 행정에 참여했다. 민지(閔漬)가 지은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이제현(李齊賢) 등과 다시 편찬했고 충렬왕·충선왕·충숙왕의 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경기체가인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을 지었고 문집에 근재집(謹齋集)이 있다. 가야읍 신암서원과 순흥의 소수서원에 배향되고 있다.
이 문집책판은 사위인 정량생이 근제의 관동와주를 공민왕 14년(1364)에 청주에서 처음 발간하였고 조선 세종 27년(1445)에는 그의 현손인 안숭선이 유고(遺稿)를 모아 보유편을 붙여 다시 발간하였다. 중간본의 출간이후 50여년의 세월이 지나 그 문집을 접하기 어렵게 되자 함안, 의령 등 인근 각지에 사는 후손들이 융희 3년(1909년)에 복간을 발의하여 그 이듬해인 1910년 함안에서 완간되었다. 책판의 크기는 가로 34cm, 세로 20cm이며 1979년 12월 29일 경남유형문화재 제174호로 지정됐다. 가야읍 신음리 15번지 취우정에 소장돼 왔으나 지금은 함안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다음은 관동별곡 중 제 1장의 내용이다.
海千重 山萬壘 關東別境
碧油幢 紅蓮幕 兵馬營主
玉帶傾盖 黑 紅旗 鳴沙路
爲 巡察景 幾何如
朔方民物 慕義趨風
爲 王化中興 景幾何如
바다 겹겹 산 첩첩인 관동의 절경에서
푸른 휘장 붉은 장막에 둘러싸인 병마영주가
옥대 매고 일산 받고, 검은 창 붉은 깃발 앞세우며 모래사장으로
아, 순찰하는 그 모습 어떠합니까?
이 지방의 백성들 의를 기리는 풍속을 쫓네.
아, 임금의 교화 중흥하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