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주지(咸州誌) 리조(里條)의 백사리(白沙里 : 후에 白沙面이됨) 속방에 있는 伽倻峴과 西南洞의 기록으로 보아 가야현(伽倻峴)과 서남동(西南洞)은 백사면(白沙面)시절(1914년 3월 1일)까지 사용되었던 오늘날의 가야동(伽倻洞)과 선왕동(先旺洞)임을 알수 있다. 가야현 즉 가야재를 이 지방 발음으로 "개애재"라 하고 서남동은 "서남골" 또는 "서낭골"이라 부르는데, 개애재는 가야동에서 선왕으로 넘어가는 작은 고개(峴)를 말한다. 이 고개명(峴名)이 동명(洞名)으로 사용되어 왔던 것이며 선왕에서는 이 고개마루를 당산(堂山)이라고 한다.
전언에 의하면 아라가야궁지(阿羅伽倻宮址)가 작은 개애재(小伽倻峴)에 있었다는데 그 궁지 앞으로 강이 흐르고 강병엔 숲이 우거져 경치가 수려해 뱃놀이등을 즐겼다고 한다. 이 강은 교통의 요로(要路)로써 풍탄진(楓灘津 : 이물이나루)에서 남강(南江)과 만나 동북으로 흐르다가 대산명의 도흥진(道興津 : 장암리)에서는 낙동강(洛東江)과 합류(合流)하여 남해(南海)로 흘러간다. 그리고 궁지 뒤에 있는 마을이 선왕동(先旺洞)이다. 이곳은 왕위(王位)를 물려준 선왕(先王)이 안주(安住)하던 곳이란 뜻에서 지어진 이름으로 전하며, 궁지 북편에 신하(臣下)들의 거주지로 알려진 신읍(臣邑)이 있다.
또한 함주지 고적조(古跡條)에서 「백사리(지금의 사내리?가야리?묘사리)에 고국유지(古國遺址)가 있으며 세전(世傳)하기를 가야국구기(伽倻國舊基)」라 하였고, 장시조(場市條)에도 궁북(宮北)이란 지명이 나오는데 궁북이란 궁(宮), 궁성(宮城), 궁지(宮址)등의 뒤편이란 뜻으로 오늘날의 군북면(郡北面)을 말한다. 이와같이 가야(伽倻)?선왕(先旺)?신읍(臣邑)을 비롯하여 앞으로 설명될 윗남문(上南門), 남문밖(南門外), 리문(里門)별구(別溝)?오차등(五次嶝)같은 전해오는 지명과 고국유지?가야국구기?봉산성(蓬山城)?궁북등의 문헌상(文獻上)의 지명들이 가야궁지와 맥락(脈絡)을 같이함을 유추(類推)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가야동(伽倻洞)을 중심으로한 지명(地名) 지세(地勢)이다. 지형지물(地形地物)이 변한 오늘날에 그것을 실감하기는 이해가 필요하겠지만 조금만 관심있게 관찰해 보면 가야동은 천혜(天惠)의 요지(要地)임을 알 수 있다. 봉산(蓬山)을 등지고 방목(放牧)을 안은 배산임수(背山臨水)의 가야동은 남(南)쪽인 대방골과 너버당(넓은당)을 제외하면 완저한 섬(島)이 된다. 지금도 메기가 침만 뱉아도 침수되는 이곳은 비가 오지 않더라도 남강이나 낙동강 상류에 호우가 내려 양강의 수위가 올라가면 덩달아 물이 드는 곳으로 마을 앞 제방이 없다면 시가지가 완전히 고립되고 만다.
마을에서 제방이 시작되는 기슭을 구렁미(溝尾)라 하며, 이 구렁미를 경계하여 남쪽의 새동네인 큰개애재(大伽倻峴)와 북족의 옛동네인 작은 개애재(小伽倻峴)로 구분되고, 작은 개애재 앞 늦기를 별구(別溝)라 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별구를 썩강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족들이 붙여준 이름이다.
구렁미에서 신음제(薪音堤)까지와 작은 개애재 서북편에서 신읍(新邑) 앞까지 별구를 가로질러 제방을 막아 관개(灌漑)와 교통의 이중효과를 보고 있지만 옛날에는 이 별구가 붓실(筆洞) 앞(南)에서부터 동북을 감돌아 뒤(西南)쪽의 서낭골 위 도랑골(溝 谷)까지 이어지게 되어 자연이 점지해 준 해자(垓字)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자연적인 혜택은 이것만이 아니다. 개애재 앞을 가로막는 구릉(丘陵)을 오차등(五次嶝)이라 하고, 오차등은 썩강에서부터 갈말목(渴馬項)까지지만 구릉(丘陵)은 건절뫼( )까지 이어진다. 이 구릉은 제방과 성(城)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요충지이며, 신음천과 광정천(廣井川)이 만나는 곳에 늪지(별구)로 통하는 수문(水門)이 있고, 이 구릉상에는 20~30(基)의 가야시대(伽倻時代) 고분(古墳)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중 4~5기는 대단한 거분(巨墳)이다.
갈말목(渴馬項)을 윗남문(上南門), 그 외곽을 남문밖(南門外)이라 하며, 이곳은 군북, 선왕 방향으로 통하는 길목으로서 선왕에서 보면 정남향(正南向)이 된다. 따라서 오차등은 자연이 만들어준 가야의 남동성이 되는 셈이며 20여년전만 해도 남문외에 옹기점이 있어 늦지의 찰흙으로 빚은 질그릇은 일품이었다.
봉산성(蓬山城) 동남 기슭에 자리한 선왕(先旺)도 자라등을 중심으로 "ㅈ"형의 산등성이 마을을 감싼다. 동구(洞口) 좌측소류지가 있는 대밭골(竹谷)은 종종 와편(瓦片)이 출토되는 곳이기도 하다. 그 좌편에 토성(土城)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능선인 진(긴)등(長嶝)은 봉산성에서 힘차게 뻗어내려 그 끝인 간거리는 별구와 도랑골에 닿았다. 간거리란 강거리라고도 부르는데 소류지 옆의 지형이 날아가는 기러기(간기러기-간거리)의 형상과 닮았기 때문에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을 우측에도 봉산성에 뿌리르둔 산등성(텃골-만밭골-신읍-더그내)이 흘러내려 성(城)의 형태를 이룬다.
"ㅈ"형태중에서 "ㅡ"은 봉산성, "/"은 진등, "\"은 텃골에서 터그내까지이며 개애재는 선와동의 입구를 막은 수문장의 형세이다.
우측 능선의 중간지점이 만박골로서 리문(里門)이라고도 한다. 리문은 신하들의 거주지로 알려진 신읍(臣邑)과는 아랫·윗골짜기로 개애재에서 볼때 북쪽이어서 신음이 전초기지라면 리문은 북문(北門)이라 해야 할 것이며, 가야궁지로 알려진 작은 개애재와 신읍은 별구(해자)를 사이에 둔 지척의 거리이다.
신읍엔 8·15해방전까지만 해도 민가가 있었다. 만가는 가야리 362번지 일대였는데 지금도 집터 흔적이며 대밭(竹田)이 완연하고, 가야리 355번지의 이우상(李雨尙)씨의 논(畓)귀퉁이에 있는 당시의 우물인 호박샘은 천년의 비사를 토해내듯 정수(淨水)가 샘솟는다. 그리고 신읍 너머가 더그내이다. 더그내란 덕(德)의 내(川) 즉 덕천(德川)을 말하며 선와동의 자연마을이다. 덕천은 봉산(삼봉산)에서 마을앞으로 흘러내리는 실개천이고 이 개천 이름에서 마을명을 따온 것이지만 옛날에는 덕천ㅇ르 점촌(点村)이라 했다. 점촌이란 이곳에 옹기점(甕器店)과 이것을 내다파는 등짐장수가 살았다는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마산등지로부터 왜구가 쳐들어 왔다고 가정한다면 첫 번째 방목(放牧)의 늪을 지나 두 번째로 신음천을 건너 세 번째로 오차등(五次嶝)과 남문(南門)을 격파하여 네 번째로 별구(해자)를 통과하여야만이 궁지로 알려진 옛 개애재에 도달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봉산성(蓬山城 : 古國遺址)까지는 개애재(伽倻峴)를 넘어 별구와 도랑골(溝渠穀)을 건너 진등(長嶝)과 신읍(臣邑) 및 리문(里門)의 협공을 뚫어야 선왕골에 진입 할 수 있고, 최후의 보루(堡壘)인 봉산성에 입성(入城)하게 되어있다 이렇게 되고 보면 오차등은 봉산성에서 다섯째의 방어선에 해당되며, 여기에서 오차등이란 지명의 생겨나게 된 것도 같지만 그 진부는 알 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