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태(三台)는 가야읍에서 북서로 약 6km, 법수면에서 동으로 2km 떨어진 곳에 위차한 마을로써 본동(本洞)인 산태(散台)와 새미골(泉谷)·어류곡(魚遊谷)이 합쳐져서 하나의 마을을 형성하였으므로 삼(三)자를 사용해 삼태(三台)라 지었다고 한다. 또한 산태목(三台項)이라고도 불리워지는데 이는 삼태가 의령방면에서 풍탄진을 지나 가야읍으로 나가는 길목이기 때문이다. 삼태를 산태(散台)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마태산(馬?山)에서 내려오는 말이 수레에 짐을 싣고 가다가 이곳에서 흩어 놓았다고 하여 흩을산(散)자를 사용하여 산태(散台)로 불리웠다 한다.
새미골(泉谷)은 본동 남쪽 약 1km 밖에 위치하는 남향(南向)마을로 마을 바른편 시골짜기에 "옹새미"라는 샘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며, 어류골(魚遊谷)은 본동 동쪽 2km에 위치하며 옛날에는 어리동(於里洞)이라 하였으나 1960년 경지정리 하기 이전까지만 해도 늪지여서 낚시와 풍월을 즐긴 이 곳은 고기가 노니는 골자기라하여 어류골(魚遊谷)이라 불렀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옛날에는 이 마을의 조그마한 절에 돌말(石馬)을 타고 다니며 해괴한 술수를 부리는 도사중이 살았는데 절에 빈데가 많이 생기는 바람에 절이 망해 버리니 중은 돌말을 그 절터 땅속 깊숙이 묻어 놓고 떠났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