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이외의 지역에서 다른 일을 하던 사람이 그 일을 그만두고 농업경영을 위해 농촌지역으로 이주
농촌 이외의 지역에서 농업경영 이외의 다른 산업분야에 종사하기 위해 농촌지역으로 이주
도시생활을 떠나 농촌에서 농업에 종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필요한 정보수집 후 귀농에 대한 결심을 굳혀야 한다. 귀농관련 정보는 농업관련기관과 단체, 농촌지도사, 선배 귀농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귀농귀촌종합센터를 활용하여 정보수집 할 수 있으며, 귀농 귀촌종합센터 콜센터1899-9097를 통하여 개별상담도 할 수 있다.
도시생활을 접고 농촌생활을 선뜻 응하지 않을 가족이 많으므로, 가족들과 충분한 의논을 거친 후 결정해야 한다. 가족의 동의 없이 일방적인 결정으로 귀농을 추진하거나 혼자 귀농하는 것은 영농정착 과정에서의 고충이 가중되거나 실패할 확률이 높다
시장경제의 흐름과 소비자트렌드 변화를 파악하고, 자신의 여건과 적성, 기술수준, 자본능력, 정착지의 기후와 교통여건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작물을 선택했다면 귀농교육, 선도농가 견학, 현장 체험들을 통해 충분히 영농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이는 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종합센터에서 운영하는 교육 및 프로그램을 통해 습득할 수 있다.
자녀교육 등 생활여건과 선정된 작목에 적합한 입지조건, 농업여건 등을 고려하여 정착지를 결정해야 한다. 정착지 결정은 반드시 현장답사를 통해 생활여건, 작물의 입지조건 등을 분석하여야 하며 여러 곳을 다녀 본 후 적합한 곳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가족이 거주할 주택과 농사를 지을 농지의 확보할 때는 주택과 농지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좋으며, 자신의 자금여건 등을 고려하여 주택과 농지의 적정규모, 매입 여부 등을 결정한 뒤 최소 3~4곳을 비교 후 선택하여야 한다.
참고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는 농지은행 통합포털을 통해 전국농지 실거래 가격, 임대 및 구매 가능 농지정보를 얻을 수 있다.
농산물을 생산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최소 4개월에서 길게 4~5년 정도 걸리므로 초보 귀농인은 가격변동이 적고, 영농기술과 자본이 적게 드는 작목중심으로 영농계획을 수립한다.